1기 신도시를 위한 미래펀드 조성계획

반응형



1기 신도시 재건축을 위한 미래펀드 개요
미래도시펀드는 1기 신도시를 포함한 노후계획도시의 재건축·재개발 사업비 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대규모 펀드입니다.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주도하며, 올해 12월 첫 투자자 모집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미래펀드의 주요 특징

1.규모 및 구조

총 12조 원 규모로 조성되며, 연기금과 공제회 등 다양한 투자자가 참여합니다.

모펀드와 자펀드로 구성되어, 모펀드는 전체 자금을 관리하고, 자펀드는 개별 사업 구역에 직접 대출을 제공합니다.

2. 대출형 펀드

사업비를 대출해주고, 이자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HUG 보증부 대출 금리를 기준으로 투자 수익률은 약 4%로 예상됩니다.

3. 지원 범위 확대

기존에는 주택 정비사업에 한정되었던 대출 범위를 주택단지, 중심지구, 시설 정비 등으로 확장했습니다.

초기 사업비 지원 한도가 최대 200억 원으로 확대되었으며, 본사업비 대출에는 공사비를 포함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4. 안정성 강화

모든 대출은 HUG가 보증하여 안정적인 운영을 도모합니다.

투자자들에게는 안정적 수익을 제공하며, 조합 및 신탁사에게는 낮은 금리로 자금을 지원합니다.











미래펀드의 도입 배경

1기 신도시는 건설 후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화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하지만 기존 정비사업 방식은 주민들이 높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해야 하며, 시공사는 장기간 사업 불확실성을 감당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미래도시펀드를 통해 재원 조달 방식을 혁신하고자 합니다.


기대 효과
재건축 활성화: 초기 사업비 조달이 용이해져 재건축·재개발 프로젝트의 추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업성 개선: 낮은 금리와 안정적인 대출 구조로 인해 재건축 사업의 경제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투자자 유치: 연기금 등 안정적인 투자자를 확보하여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펀드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향후 계획

올해 6월 운용사 선정 계획 공고.

12월 중 6천억 원 규모의 1호 모펀드 투자자 모집.

지속적으로 필요한 규모의 펀드를 추가 조성하여 다양한 정비사업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미래도시펀드는 단순히 재건축 비용 지원을 넘어,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중요한 사례가 될 전망입니다.

이를 통해 1기 신도시 주민들의 주거 환경 개선과 도시 경쟁력 강화가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