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프리카의 초원을 거닐다가 사자와 마주쳤다고 하자. 이 때는 이 위기를 어떻게 빠져나갈까 하는 것 이외에는 아무 생각이 없을 것이다. 이 상태가 바로 몰입이다.
행복을 추구하면서도 해야 할 일을 남보다 더 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이 바로 몰입이다.
인내력은 성공적인 삶을 위해 갖춰야 할 필수 덕목 중 하나다. 몰입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내력이 필요하다.몰입에 도달하기 까지의 과정 곳곳에는 예상치 못한 숱한 난관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인내력을 형성하는 뇌과학의 메커니즘을 알고 있으면 몰입에 이르는 길이 한결 수월할 것이다.
우리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목적지향성을 고려하면 몰입도를 올리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요소는 바로 뚜렷한 목표와 성취 동기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어떤 목표를 정하면 맹목적으로 그 목표를 추구하는 본능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목표 의식을 강화시켜 성취 동기를 북돋우는 노력이 궁극적으로 자신의 일에 대한 흥미와 수행 능력을 올리는 결과로 이어진다.
무엇인가를 진정으로 원하는 사람은 언젠가는 그 목표를 반드시 이루고야 만다.
첫째, 확고한 목적 의식과 불타는 강렬한 의욕을 갖는다.
둘째,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착실히 실행애 나간다.
셋째, 주위 사람들의 부정적인 견해는 깨끗이 무시해버린다.
넷째, 나의 목표와 계획에 찬성하여 항상 용기를 북동워주는 사람을 친구로 사귄다.
몰입 상태에서는 자아실현을 하고 있다고 느낀다. 심리학에서 자아실현이란 영적으로 성장하고 자신의 잼재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문제를 풀려고 노력하는 할동은 비록 가시적인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한다 하더라도 큰 의미가 있다. 이렇게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훨씬 더 강도 높은 사고 체계를 가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모르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창의력은 발달된다.
자신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활동을 창의적인 노력으로 인정해주어야 몇 번의 시행착고 끝에 창의적인 결과가 나오고 창의성이 발달한다. 즉 미지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제공되는 것이다. 바로 이런 토양에서 아무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남다른 능력이 길러진다.
몰입도를 올리려고 노력하는 과정에는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를 경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느 정도 몰입도를 올렸다가도 인터넷을 하거나 tv등을 보면 몰입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반응형
'독서+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양식 (11) | 2025.02.14 |
---|---|
((독서후기)) 원씽 (9) | 2025.02.12 |
((필사)) 30대 초반이 느낀 돈의 속성(성공한 자들에게 배우자) (4) | 2025.01.25 |
(독서) 돈의 법칙 ( 작성중) (2) | 2025.01.22 |
부동산 실력이 안들어 나는 사람(필사) (1) | 2024.06.04 |